목록전체 글 (103)
밍쎄의 코딩공간
간략하게 정리해본 계좌(Account)만들기 1. 프로젝트 생성 및 의존성 추가: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Spring Initializr (https://start.spring.io/)를 사용하거나 스프링 부트 CLI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설정에서 사용할 언어, 빌드 도구, 의존성 등을 선택합니다. 계좌 생성에는 Spring Web과 Spring Data JPA 등의 의존성이 필요합니다. 이를 pom.xml (Maven) 또는 build.gradle (Gradle) 파일에 추가합니다. 2. 데이터베이스 모델의 정의 : Account라는 이름의 클래스를 생성하여 계좌 정보를 표현하는 모델 클래스를 만듭니다.데이터베이스 모델 정의: @Entity public class Account ..
MemberService public interface MemberService { Member findById(MemberId id); Member findByEmail(Email email); void changePassword(PasswordDto.ChangeRequest dto); Member updateName(MemberId id, Name name); } 위 와 같은 인터페이스는 좋은 구조라고 생각지 않습니다. 우선 인터페이스를 두어서 얻는 이점은 세부 구현체를 숨기고 인터페이스를 바라보게 함으로써 클래스 간의 의존관계를 줄이는 것, 다형성을 사용 하는 것 이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조금 더 쉽게 정리하면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여러 구현체가 있고 기능에 따라 적절한 구현체가 들어가서 ..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people, int limit) { int answer = 0; Arrays.sort(people); int index = 0; for (int i = people.length - 1; i >= index; i--) { if (people[i] + people[index]
import java.util.HashMap;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String[] keymap, String[] targets) { HashMap hm = new HashMap(); int[] ret = new int[targets.length]; for(String key : keymap) { for(int i=0 ; i
SQLite에 좌표값 (위도, 경도)이 저장되어있는 경우, 쿼리를 통해 현재 위치에서 일정 거리내의 위치값을 갖는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공식은 다음과 같다. distance = 6371 * acos ( cos ( rad ( lat1 ) ) * cos ( rad ( lat2 ) ) * cos ( rad ( lng2 ) - rad ( lng1 ) ) + sin ( rad ( lat1 ) ) * sin ( rad ( lat2 ) ) ) acos 내부의 식을 x라고 한다면 distance = 6371 * acos(x) acos(x) = distance/6371 x = cos(distance/6371) 이다. 그리고 x식을 사용하기 위해서 cos(x-y) = cos x cos y + sin x..
소싯적에 우리는 한컴타자를 했다. ㅎㅎ 그때 광물캐기라는 코너 속 코너 게임이 있엇는디,,, 정감가드라요..~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picks, String[] minerals) { int answer = 0; int num = picks[0] + picks[1] + picks[2]; int[][] section = new int[minerals.length / 5 + 1][3]; int i, pick; for(i = 0; i 0; i++) { switch(minerals[i].charAt(0)) { case 'd': section[i / 5][0] += 1;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