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94)
밍쎄의 코딩공간

1. 정의 a) 자료구조란? 대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데이터를 저장 및 정렬하는 방식을 말한다. 데이터를 어떤 방식으로 저장하고 정렬하느냐에 따라 추출 방식 등 데이터를 처리 및 조작하는데 필요한 코드가 달라진다. 2. 자료구조 (Data Structure) a) 배열(Array) https://wikidocs.net/22958 한가지 데이터 타입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 및 정렬하는 자료구조 각 데이터마다 index를 부여하여 데이터 검색에 용이(장점) 배열은 크기가 고정적(단점) 데이터가 삭제되면 배열 전체의 데이터를 재정렬(단점) b) 큐(Queue) https://galid1.tistory.com/483 FIFO(First In, First Out)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 및 정..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 { int answer = 0; if(n % 2 == 1){ for(int i = 1; i
class Solution { public String solution(String my_string, String overwrite_string, int s) { String answer = "";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sb.append(my_string.substring(0, s)); sb.append(overwrite_string); sb.append(my_string.substring(s+overwrite_string.length())); return sb.toString(); }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81943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

시간 복잡도 문제를 해결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입력의 함수 관계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에 입력의 크기에 따라서 프로그램이 계산하는 횟수가 크게 달라진다. 입력된 자료의 양과 알고리즘 실행에 걸리는 시간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관계가 있다. 이것을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라 한다. cf. 메모리 공간을 얼마나 차지하느냐를 계산하는 공간 복잡도라는 개념도 있지만, 저장 기술의 발달로 인해 현재는 시간 복잡도를 우선 고려하는 경우가 많다. 시간 복잡도를 나타낼 때에는 Big O 표기법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서, 1부터 n까지의 합을 구한다고 할 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법이 있다. // 방법 1 int n, res = 0; for (int i = 1; i
https://medium.com/@gojbpark/%EA%B0%9C%EB%B0%9C-%EA%B3%BC%EC%A0%9C%EB%A5%BC-%EC%A4%80%EB%B9%84%ED%95%98%EB%8A%94-%ED%8C%81-10%EA%B0%80%EC%A7%80-372d00c3db8 개발 과제를 준비하는 팁 10가지 개발 과제도 대상과 목적이 있습니다. 모든게 그렇듯이. medium.com 부트캠프 뿐만 아니라 협업 프로젝트에서도 해당되는 내용! 읽어보면 도움이 많이 될 것 같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글을 읽는 방법을 아는 것이 핵심인 것 같다.